우선 Jenkins는 흔히 말하는 CI/CD 중 지속적 통합(Continuous Integration)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이다.
개발 중인 저장소(git, svn 등)에 업로드된 소스를 테스트, 빌드, 빌드 후 작업등을 자동 동작하게 해 주어
(이 자체가 지속적 통합) 그만큼 개발자의 리소스 소모가 줄어든다.
1. Installer Download
https://www.jenkins.io/download/
Jenkins download and deployment
Jenkins – an open source automation server which enables developers around the world to reliably build, test, and deploy their software
www.jenkins.io

2. Install
경로 설정 하고,

서비스 구동 계정 선택

서비스 구동 시 계정을 설정 하는 부분, 우선 따로 지정 없이 설치 하자 (나중에 필요하면 바꿀 수 있다)
#따로 계정 설정 하지 않으면 기본 NETWORK SERVICE 으로 동작 한다.
접속포트 설정

기본 8080인데, 다른걸로 바꾸고(8080은 다른 프로그램들도 많이 써서 충돌 생길 수 있다)
[Test Port] 로 포트 연결 체크 후 Next.
JDK 연동

Jenkins는 Java 기반이라 JDK 설치되어야 설치 가능하다.
설치 되어 있지 않음 설치하고 다시 jenkins 설치 하자.(설치되어 있음 자동으로 Path 잡힌다.)

# JDK설치
AdoptOpenJDK
AdoptOpenJDK provides prebuilt OpenJDK binaries from a fully open source set of build scripts and infrastructure. Supported platforms include Linux, macOS, Windows, ARM, Solaris, and AIX.
adoptopenjdk.net
위 사이트에서 OpenJDK 설치 하자( LTS 중 최신버전으로 )

설치 후 jdk 설치 위치 지정
방화벽설정

이후 Next 하면 파일 설치 되고, 인자하게 생긴 집사 아저씨가 Completed라고 알려 주신다.

다음 step은 다음 포스트에
Jenkins 설치(Windows 환경)(2)
이전 포스팅 이어서.. https://lock.tistory.com/2 Jenkins 설치(Windows 환경)(1) 우선 Jenkins는 흔히 말하는 CI/CD 중 지속적 통합(Continuous Integration)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이다. 개발중인 저장소(git,..
lock.tistory.com
'DEV > Jenkin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enkins - Git 연동 (2) - Webhooks (0) | 2021.06.23 |
---|---|
Jenkins - Git 연동 (1) - 연결 (0) | 2021.06.16 |
Jenkins 재시작 (0) | 2021.06.14 |
Jenkins 홈 디렉터리 변경 (0) | 2021.06.14 |
Jenkins 설치(Windows 환경)(2) (0) | 2021.06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