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전 포스팅 이어서..
Jenkins 설치(Windows 환경)(1)
우선 Jenkins는 흔히 말하는 CI/CD 중 지속적 통합(Continuous Integration)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이다. 개발중인 저장소(git, svn등)에 업로드된 소스를 테스트, 빌드, 빌드 후 작업등을 자동 동작하게 해
lock.tistory.com
인스톨 후의 Jenkis 세팅
1. Login
- 인스톨러 전체 과정 완료하면 자동으로 페이지 열리면서 Unlock Jenkins 하라고 뜬다
- 표시된 위치에 initialAdminPassword 파일 내의 값 입력 후 Continue
2. Install Plugins
- 플러그 인 설치 하자. 뭐가 필요하는지 아는 사람은 select로, 아닌 사람은 suggested로
- 설치 중 설치 실패된 항목 있어도 무시 하고 다음 진행 하자(나중에 필요한 것들 추가로 설치해도 된다)
3. Admin User Setting
Jenkins 페이지 접근 위한 계정 설정 하고,
4. Jenkins 접속 URL
앞서 설치 시 설정한 Port로 설정된 접속 URL 설정 창.
로컬에서만 사용할 예정이면 저기 따로 변경 없이 다음으로 넘어가도 되나,
팀 공용 PC라든지 서버에 설치해서 여려 사용자가 접근할 예정이면 저상태로는 안되니 변경하도록 하자
( ex. http://192.168.0.1:8005/ 이런 식으로 구동 서버 PC IP 입력)
(지금 단계에서 그냥 넘어가도 추후 수정도 가능하다)
5. Complete
다 되었다! [Start using Jenkins] 해보자
구동 완료
'DEV > Jenkin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enkins - Git 연동 (2) - Webhooks (0) | 2021.06.23 |
---|---|
Jenkins - Git 연동 (1) - 연결 (0) | 2021.06.16 |
Jenkins 재시작 (0) | 2021.06.14 |
Jenkins 홈 디렉터리 변경 (0) | 2021.06.14 |
Jenkins 설치(Windows 환경)(1) (0) | 2021.06.11 |